2025년 8월 14일, 지투지바이오(G2GBIO)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합니다. 바이오 R&D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이 기업은 공모가 확정과 함께 높은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투지바이오의 기업 개요부터 공모주 청약 정보, 수요예측 결과, 투자 포인트까지 한눈에 살펴보겠습니다.
대부분의 기관이 밴드 최상단 가격으로 참여했으며, 높은 확약 비율은 시장에서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출처 : 38커뮤니케이션
의무보유 확약 상세
이는 상장 직후 유통 물량 제한 효과로 이어져, 주가 안정성 확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수요예측 가격분포 분석
총 참여 건수: 2,446건
총수량: 534,776,900주
확정 공모가: 58,000원 (밴드 상단)
핵심 분석 포인트
1. 공모가 상단(58,000원)에 몰린 수요
전체 수요의 90.83%가 공모가 상단인 58,000원에 집중되었습니다.
이는 투자기관들이 지투지바이오의 기업 가치와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의 경우, 기술력과 향후 상업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결과는 지투지바이오가 시장에서 상당한 기술 신뢰를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밴드 하단 이하 참여 극히 미미
희망 공모가 밴드 하단(48,000원) 이하를 제시한 참여는 **단 21건, 전체의 0.41%**에 불과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기관이 최소한 공모가 밴드 상단 수준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음을 보여줍니다.
3. 가격 제시 분포의 편중
전체 참여 중 99.59%가 58,000원 이상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매우 이례적으로 강한 수요예측 결과이며, 최근 몇 년간 코스닥 바이오 공모주 중에서도 보기 드문 수준입니다.
지투지바이오 공모주 투자 포인트
1. 상장 후 자금 활용 계획 명확
공모자금 약 504억 원은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됩니다.
제2 GMP 공장 건설: 217억 원
제1공장 확장 및 설비: 30억 원
임상시험 및 주요 파이프라인 개발: 120억 원
R&D 인력 및 운영자금: 약 130억 원
→ 신약 상용화 기반 마련에 집중된 자금 집행 구조로, 중장기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높은 경쟁률과 고가 주문 비율은 기관들이 지투지바이오의 **기술력(InnoLAMP 플랫폼 및 파이프라인)**과 성장성에 대해 높은 기대를 표현한 결과입니다.
밴드 상단 확정 및 일부 상단 초과 주문(8.09%)은 시장에서 밸류에이션 부담보다 미래 가치를 우선 반영한 신호로 해석됩니다.
"의무보유 확약 비율 15.6%"는 중기 이상 장기 투자 의지를 가진 기관 비중이 적지 않음을 시사하지만, 다소 낮은 수준이므로 상장 후 초기 유통물량 영향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유의사항
현재는 영업손실이 지속되는 구조로, 단기적인 실적보다는 장기적인 기술 상용화 가능성에 기반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의무보유 확약이 일정 부분 있으나, 전체 유통 가능 물량 비중은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 비전 및 성장 전략
IoLAMP 미립구 플랫폼 기술 기반으로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 및 CDMO 협업 진행 중
제2 GMP 공장 구축 계획 중으로, 연간 700만 명분(세마글루타이드 기준) 생산 능력 확보 목표이며, 2027년 완공 예정
리드 파이프라인: 1개월 제형 GLP‑1 치료제 ‘GB‑7001’ (내년 상반기 국내 임상 1상 진입 예정), 3개월 제형 개발 중, 치매치료제 ‘GB‑5001A’ 등도 임상 진행 단계
결론
지투지바이오는 고난도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는 R&D 중심 기업으로,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상업화 기반을 본격적으로 구축하려 하고 있습니다. 기관 수요예측 결과와 공모가 상단 확정은 시장의 높은 기대감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기술 기반 바이오 기업에 대한 중장기적 관점의 투자자라면, 지투지바이오 공모주는 관심 있게 살펴볼 만한 종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