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지류, 모바일, 카드형 구매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온누리 상품권 통합문의 : 1357 (중소기업통합 콜센터) |
전국 16개 금융기관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 BMK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수협, 신협,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우체국, MG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KEB하나은행
* 지역농축협(지역 OO 은행) 온누리 상품권은 판매하지 않습니다.
지류상품권 권종
* 상품권 판매 취소는 판매 당일, 판매점에서 구매자 본인만 할 수 있으며, 상품권 권종 간의 교환은 불가합니다.
잔액현금교환 : 가맹점에서 권면 금액 (총 구매금액)의 60% 이상 구매할 경우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 10% 할인 (설 특별할인 15% : 2025년 2월 10일까지) |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 앱 설치 후 기존 갖고 있는 카드를 등록하고,
금액 충전 후, 실물 카드 결제 방식으로 이용 가능한 온누리 상품권입니다.
*본인 명의 카드만 가능하고 , 최대 10개까지 등로가능합니다.
BC 이용가능카드 (14곳) : 기업, 농협, 우리, BC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우체국, 광주
KB이용가능 카드 : 국민, 전북
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구매한도 : 200만 원 (1년 최대한도)
할인율 : 10%
- 미사용 상품권은 구매 후 7일 이내에 전액환불이 가능합니다.
- 사용한 상품권은 총 구매 금액의 60% 이상 결제한 경우 온누리페이 앱을 통해 잔액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홈페이지 바로가기
온누리상품권 공식 홈페이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계된 온누리상품권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결제
cjstk123.com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앱 다운로드 사용법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으로,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고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QR코드 결제를 지원하며, 사용처 확
cjstk123.com
2025년 최저임금 인상률 계산법 ,최저임금 시급 월급
2025년 최저임금 정보: 최저임금위원회 발표 기준 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도 최저임금을 시간당 10,030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이는 2024년도 최저임금인 9,860원에서 1.7% 인상된 금액으로, 근로자의
cjstk123.com